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데리데시우스
- 교황
- 루터
- 알리스터 맥그라스
- Greco-Roman
- ad fontes
- 종교개혁
- 라틴어 성경
- 독일의 그리스도인 귀족에게
- 장 칼뱅
- 근원으로 돌아가자
- 원천으로 돌아가자
- 마르틴 루터
- 알리스터맥그라스
- 칼빈
- 루더
- 오직 믿음
- 카를 5세
- 종교개혁사
- 에라스무스
- 종교개혁배경
- 르네상스
- 기독교의역사
- 기독교의 역사
- 존 칼빈
- 불가타역
- enchiridion
- 교회사
- 성서번역
- 문예부흥운동
- Today
- Total
목록ad fontes (2)
얼룩말 옆 기린
지난 포스팅에서 라틴어 성경의 번역 오류에 대해서 운을 띄우고 마무리를 했어요. 당시 많은 오류 중 2개의 오류를 소개해 드릴게요.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본 서의 저자 알리스터 맥그라스가 쓴 『신학이란 무엇인가』(p.114-115)를 참고했습니다. 1. 불가타 번역(라틴어 성경)에서는 예수가 사역을 시작하면서 하신 말씀(마 4:17)을 "고해하라. 천국이 가까이 왔다"로 옮겼습니다. 이렇게 번역하여 천국의 도래가 고해성사와 직접 연결된다는 의미가 되었습니다. 이에 에라스무스는 이 구절을 "회개하라. 천국이 가까이 왔다"로 번역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. 불가타 역본에서는 외적인 실천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, 예수님의 본의는 내적이고 심리적인 태도, 곧 '회개한 마음'을 요구하신 것입니다. 하지만 이런..
바로 지금부터 다루려는 주제를 위해 지금까지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. 그러니 지금부터 함께 종교개혁에 대해 알아볼까요? 종교개혁운동, 프로테스탄트 운동, 둘 다 같은 말인데요. 이 운동들의 특징은 하나의 일치된 사상으로 일어난 하나의 운동이 아니라는 것입니다. 그러니까 당시 교회의 바르지 못한 모양을 고쳐보자고 웅성대던 사람들이 각 도시를 중심으로 우후죽순으로 일어난 조금씩 다른 개별적인 운동들을 총칭하는 말입니다. 개별적인 특징들을 처음부터 살펴보기보다 비슷한 것들을 먼저 보면 그 분위기를 파악하기가 더 쉬울거라고 생각해요. 마침 프로테스탄트가 종교개혁을 진행하면서 공유한 보편적인 공통점이 있습니다. 함께 가실까요. ad fontes. 근원으로. 'ad fontes'는 '원천으로 돌아가자'라는 뜻을 가진..